전체 글
-
아이템27. 비검사 경고를 제거하라책/이펙티브자바 2021. 8. 24. 11:53
비검사 경고 unchecked warning을 비검사 경고라고 하며 컴파일러 경고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대부분의 비검사 경고는 쉽게 제거할 수 있다. // ex.1 Set exaltation = new HashSet(); HashSet exaltation = new HashSet(); // ex.2 Set exaltation = new HashSet(); ex.1의 경우 컴파일러가 무엇이 잘못됐는지 알려주고 알려준 대로 수정하면 경고가 사라진다. ex.2를 보면컴파일러가 알려준 타입 매개변수를 명시하지않고, 자바 7부터 지원하는 다이아몬드 연산자()만으로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은 컴파일러가 올바른 실제 타입 매개변수(이 경우는 Lark) 를 추론해준다. 경고 제거하기 곧바로 해결되지 않는 경고가 ..
-
아이템26. 로 타입은 사용하지 말라책/이펙티브자바 2021. 8. 24. 11:52
제네릭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선언에 타입 매개변수가 쓰이면, 이를 제네릭 클래스 혹은 제네릭 인터페이스라 한다. 제네릭 클래스와 제네릭 인터페이스를 통틀어 제네릭 타입(generic type) 이라 한다. 각각의 제네릭 타입은 일련의 매개변수화 타입(parameterized type) 을 정의한다. 예를들어, List은 원소의 타입이 String인 리스트를 뜻하는 매개변수화 타입이다. List, 여기서 String 이 정규(formal) 타입 매개변수 E 에 해당하는 실제(actual) 타입 매개변수이다. 로 타입의 단점 제네릭 타입을 하나 정의하면 그에 딸린 로 타입(raw type) 도 함께 정의된다. 로 타입이란 제네릭 타입에서 타입 매개변수를 전혀 사용하지 않을 때를 말한다. 예를들어, List 의..
-
아이템25. 톱레벨 클래스는 한 파일에 하나만 담으라책/이펙티브자바 2021. 8. 24. 11:52
소스 파일 하나에 톱레벨 클래스를 여러 개 선언하더라도 컴파일러는 불평하지 않지만 아무런 득이 없을 뿐더러 심각한 위험을 감수하는 행위다. 한 클래스를 여러가지로 정의할 수 있으며, 그 중 어느것을 사용할지는 어느 소스 파일을 먼저 컴파일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컴파일러에 어느 소스 파일을 먼저 건네느냐에 따라 동작이 달라진다. 결론 소스 파일 하나에는 반드시 톱레벨 클래스를 하나만 담자. 굳이 한 파일에 담고 싶다면 정적 멤버 클래스를 사용하자. (Item24)
-
아이템23. 태그 달린 클래스보다는 클래스 계층구조를 활용하라책/이펙티브자바 2021. 8. 24. 11:51
태그 달린 클래스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표현할 수 있으며, 그 중 현재 표현하는 의미를 태그 값으로 알려주는 클래스를 태그 달린 클래스라고 한다. // 23-1. 태그 달린 클래스 public class Figure { enum Shape { RECTANGLE, CIRCLE }; // 태그 필드 - 현재 모양을 나타낸다. final Shape shape; // RECTANGLE 일때만 쓰인다. double length; double width; // CIRCLE 일때만 쓰인다. double radius; // 원용 생성자 Figure(double radius) { shape = Shape.CIRCLE; this.radius = radius; } // 사각형용 생성자 Figure(double length..
-
아이템22. 인터페이스는 타입을 정의하는 용도로만 사용하라책/이펙티브자바 2021. 8. 24. 11:50
클래스가 어떤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 자신의 인스턴스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클라이언트에 얘기해준다. 인터페이스는 오직 이 용도로만 사용해야 한다. 안티패턴 이 사용 용도에 맞지 않는 잘못된 예로 상수 인터페이스라는 것이 있다. public interface PhysicalConstants { static final double AVOGADROS_NUMBER = 6.022_140_857e23; static final double BOLTZMANN_CONSTANT = 1.380_648_52e-23; static final double ELECTRON_MASS = 9.109_383_56e-31; } 클래스 내부에서 사용하는 상수는 외부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내부 구현에 해당하는데 상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
아이템21. 인터페이스는 구현하는 쪽을 생각해 설계하라책/이펙티브자바 2021. 8. 24. 11:50
인터페이스에 새로운 메서드를 추가하는 방법 자바 8 이전 기존 구현체를 깨뜨리지 않고는 인터페이스에 메서드 추가할 방법이 없다. 자바 8 이후 디폴트 메서드가 추가되어 기존 인터페이스에 메서드 추가할 방법이 생겼다. 하지만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상황에서 불변식을 해치지 않는 디폴트 메서드를 작성하기란 어렵다. 디폴트 메서드의 문제점 디폴트 메서드는 (컴파일에 성공하더라도) 기존 구현체에 런타임 오류를 일으킬 수 있다. 디폴트 메서드는 인터페이스로부터 메서드를 제거하거나 기존 메서드의 시그니처를 수정하는 용도로 사용한다면 반드시 기존 클라이언트를 망가뜨리게 된다. 결론 기존 인터페이스에 디폴트 메서드로 새 메서드를 추가하는 일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피해야 한다. 디폴트 메서드라는 도구가 생겼더라도 인..
-
아이템20. 추상 클래스보다는 인터페이스를 우선하라책/이펙티브자바 2021. 8. 18. 17:35
추상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차이점 추상 클래스가 정의한 타입을 구현하는 클래스는 반드시 추상 클래스의 하위 클래스가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자바는 단일 상속만 지원하는데, 추상 클래스 방식을 사용한다면 새로운 타입을 정의하는 데 커다란 제약을 안게 된다. 반면 인터페이스가 선언한 메서드를 모두 정의하고 그 일반 규약을 잘 지킨 클래스라면 다른 어떤 클래스를 상속했든 같은 타입으로 취급된다. 믹스인 인터페이스는 믹스인 정의에 안성맞춤이다. 믹스인이란 클래스가 구현할 수 있는 타입으로, 믹스인을 구현한 클래스에 원래의 '주된 타입'외에도 특정 선택적 행위를 제공한다고 선언하는 효과를 준다. ex. Comparable 은 자신을 구현한 클래스의 인스턴스들끼리는 순서를 정할 수 있다고 선언하는 믹스인 인터페이스이..
-
아이템19. 상속을 고려해 설계하고 문서화하라. 그러지 않았다면 상속을 금지하라책/이펙티브자바 2021. 8. 17. 13:38
상속을 고려한 설계와 문서화가 무엇일까 ? 메서드를 재정의하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정확히 정리하여 문서로 남겨야 한다. 상속용 클래스는 재정의할 수 있는 메서드들을 내부적으로 어떻게 이용하는지 문서로 남겨야 한다. 클래스의 API로 공개된 메서드에서 클래스 자신의 또 다른 메서드를 호출할 수 도 있다. 그런데 마침 호출되는 메서드가 재정의 가능 메서드라면 그 사실을 호출하는 메서드의 API 설명에 적시해야 한다. 어떤 순서로 호출하는지, 각각의 호출 결과가 이어지는 처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담는다. (재정의 가능이란 public과 protected 메서드 중 final 이 아닌 모든 메서드를 뜻한다.) 재정의 가능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문서로 남겨야 한다. 문서화 "Implemen..